2025.07.02 (수)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과학·기술·정보


직장인 2명 中 1명은 부모님께 손 벌린다...연평균 ‘944만원’

생활비→주택구입비 및 전세금→빚 변제용→결혼자금→차량 구입비 순


직장인 2명 중 1명 이상은 부모로부터 금전적 지원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이 최근 1년간 받은 금전적 지원은 평균 944만원으로 집계됐다.

잡코리아가 2030 직장인 97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해 12일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응답자의 54.2%가 부모님으로부터 ‘금전적 도움을 받고 있다’고 답했다. 이 같은 응답은 기혼자 그룹(64.7%)에서 미혼자 그룹(50.9%)보다 높게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직장인들이 부모님으로부터 받는 금전적 지원의 유형을 살펴보면 생활비 지원(43.1%)과, 주택마련 및 전세금 지원(42.2%)이 1, 2위를 다퉜다. 또 ▲학자금 대출이나 카드 빚 등을 갚을 때(25.0%) ▲결혼자금(15.4%) ▲차량 구입(14.5%) ▲자녀 양육비 및 교육비(5.1%) 등도 부모님의 도움을 받는 항목들로 조사됐다.

응답군별로 살펴보면 기혼 직장인은 결혼자금(53.2%)과 주택 마련 및 전세금(49.4%)을 지원받았다는 응답이 가장 높았던 반면, 미혼 직장인은 생활비(53.8%)와 주택마련 및 전세금(39.3%)에 대한 도움을 주로 받고 있었다.

부모님으로부터 금전적 지원을 받고 있다고 밝힌 직장인들이 최근 1년간 지원받은 금액은 평균 944만원으로 집계됐다. 결혼을 한 직장인일수록 금전지원 액수도 높았다. 즉 기혼자가 최근 1년간 지원받은 금액은 평균 1,402만원으로 미혼자(757만원)보다 약 2배가량 높았다.

금전 지원을 받는다고 답한 응답자 중 평균 지원액이 가장 높았던 그룹은 기혼 남성그룹으로 최근 1년간 평균 1,780만원을 부모님께 도움 받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미혼 여성그룹이 가장 낮은 평균 679만원을 기록했다.

한편 금전 외 부분에서 부모님께 도움을 받고 있다는 응답은 무려 79.2%에 달했다. 기혼 직장인의 경우 쌀, 과일, 반찬 등 부식을 일정한 주기로 제공(48.10%) 받거나, 자녀 양육 보조(39.0%)에 가장 큰 도움을 받고 있었다. 

반면 미혼 직장인들은 어려운 결정을 내릴 때 부모님께 의지하는 등의 정서적 도움이 51.4%로 가장 높아 차이를 보였다. 또 미혼 직장인들은 부모님 집에 들어가 생활하는 등 주거 제공(38.4%)과 살림(19.2%)에도 부모님 도움을 많이 받고 있었다.

관련기사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대한요양보호사협회 “수급자 또는 보호자 서명의무화 폐지 해야”
대한요양보호사협회(이하 협회, 회장 고재경)는 1일 국회 소통관에서 노인장기요양보험법 시행 17주년 기념 기자회견을 열고, 7월 1일을 법정 기념일인 ‘요양보호사의 날’로 제정할 것을 촉구했다. 협회는 성명에서 요양보호사는 기저귀 교체, 체위변경 등 강도 높은 업무에 시달리면서도 폭언과 폭력, 불안정한 고용 형태, 최저 임금 수준의 저임금과 낮은 사회적 인식에 따른 사기 저하 등 매우 열악한 근로 환경에 처해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요양보호사의 사기 진작과 사회적 인식을 개선하기 위해 ‘요양보호사의 날’을 법정 기념일로 제정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또, 요양보호사의 수급 부족이 심각하다고 지적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요양보호사의 인권을 보호하고 처우를 획기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정부의 조치가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서명이 불가능한 수급자와 보호자에 대한 서명 의무 폐지를 촉구했다. 이어 최근 국민건강보험공단(이하 건보공단)의 ‘스마트 장기요양 앱’의 개편 과정에서 장기요양보험제도의 허술한 민낯이 드러났다고 밝혔다. 협회는 “수급자의 상당 수는 와상 상태, 인지능력 저하, 중증 치매 등으로 서명을 할 수 없는 상태에 있다. 그런데 수급자의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