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10.5℃
  • 흐림강릉 14.1℃
  • 맑음서울 12.9℃
  • 맑음대전 12.5℃
  • 맑음대구 9.9℃
  • 맑음울산 14.5℃
  • 맑음광주 12.9℃
  • 구름조금부산 16.0℃
  • 맑음고창 10.4℃
  • 맑음제주 17.2℃
  • 흐림강화 12.2℃
  • 맑음보은 8.1℃
  • 맑음금산 7.7℃
  • 맑음강진군 11.1℃
  • 맑음경주시 7.2℃
  • 맑음거제 14.3℃
기상청 제공

2025년 11월 08일 토요일

메뉴

정치


靑 "대통령 사위 특혜 취업 없다…곽상도 의원 비상식적이고 악의적 행태 당장 중단해야"

고민정 대변인 "대통령 친인척 관리에 소홀함 없다"
곽 의원 " 동문서답 말고 딸 가족 해외이주 이유 등 밝혀야"

 

청와대가 18일 곽상도 자유한국당 의원이 제기한 문재인 대통령 사위의 취업 특혜 의혹에 대해 "대통령 사위의 취업에 있어서 국가기관이나 공공기관 등 그 어떠한 특혜나 불법도 없었음을 밝힌다"고 밝혔다.

 

고민정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이같이 밝히며 "또한 대통령의 손자는 정당한 절차를 거쳐 학교를 다니고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고 대변인은 "일단 청와대는 대통령 친인척 관리에 있어서 소홀함이 없음을 말씀드린다"고 강조했다.

 

또 "지난 1월29일 청와대에서 밝힌 '대통령 자녀의 부동산 증여, 매매 과정 및 해외체류와 관련해 어떠한 불법이나 탈법이 없었다'는 것을 다시 한번 강조해서 말씀드린다"고 했다.

 

고 대변인은 문 대통령의 딸인 다혜씨의 해외 이주에 대해 지속해서 의혹을 제기하고 있는 곽 의원에 대해서도 유감을 표했다.

 

고 대변인은 "곽상도 의원은 전직 청와대 민정수석이었다. 대통령과 가족의 경호 및 안전이 그 어떤 사유로도 공개할 수 없다는 점을 곽 의원은 잘 알고 있을 것"이라며 "모르고 있다면 그것은 제대로 된 민정수석의 역할을 하지 않았다는 뜻이 된다"고 했다.

 

고 대변인은 "대통령 가족의 집 위치, 다니는 학교, 직장 등 사적인 부분의 공개가 대통령과 가족에게 얼마나 위해한 일이 되는지 그 누구보다 잘 알고 있는 사람이 곽상도 의원"이라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통령의 어린 손자가 다니는 학교까지 추적해 공개하려는 행위가 국회의원의 정상적인 의정활동인지 묻고 싶다"고 했다.

 

이어 "곽상도 의원의 이 같은 비상식적이고 도를 넘는 악의적 행태를 당장 중단할 것을 요구한다"고 했다.

 

 

청와대의 발표에 대해 곽 의원은 곧바로 "청와대는 동문서답하지 말고 딸 가족이 왜 해외이주 했는지, 사위의 취업 여부 및 대가관계 등을 밝혀주시기 바란다"고 했다.

 

곽 의원은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이같이 말하며 "현직 대통령의 딸 가족이 해외이주한 이유에 대해 국민들이 궁금해하고 있다. 그러면서 사위와 관련한 의혹들이 함께 제기돼 있다"며 "불법도 탈법도 없었다니 관련 자료를 공개해서 설명하면 될 일"이라고 했다.

 

곽 의원은 "딸 가족의 집 위치를 물었습니까? 외손자가 다니는 학교 이름을 물었습니까? 신고한 학교와 다른 학교에 다니는지에 대해 물었다"며 "사위의 직장? 사위의 과거 직장 공개가 대통령에게 위해한 일인지 이해되지 않는다"고 했다.

 

또 "직장 관계자는 사위에 대한 경호가 없었다고 했다. 위해를 말하려고 한다면 경호부터 있었어야 할 것"이라고 했다.

 

곽 의원은 "현 정부의 교육정책은 자사고, 외고, 국제고를 줄이려고 하는 것"이라며 "그러면서 외손자는 외국의 국제고를 다닌다고 하니, 이런 것은 확인해야 하지 않겠느냐"고 했다.
 


관련기사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소방관의 안전과 처우···"국가 차원에서 마련해야"
전국공무원노동조합 소방본부 관계자들이 5일 서울 여의도 국회 본청 앞 계단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소방관의 안전과 처우 개선을 위한 국가 차원의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소방본부는 이날 발표한 기자회견문을 통해 "수많은 동료가 심각한 육체적·정신적 위험에 노출돼 있음에도 소방관의 고통에 대한 국가의 체계적 지원은 여전히 부족하고, 소방관 한 명이 감당해야 하는 부담은 커지고 있어 현장 사고 위험이 증가하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현장 경험이 부족한 지휘관이 재난 현장을 통솔하는 구조적 문제에 대해서도 지적했다. 현장을 잘 아는 지휘체계와 안전관리 시스템으로의 전환이 시급하다는 주장이다. 또 실질적인 변화를 위해서는 대통령이 직접 현장 소방관들의 목소리를 듣고 고충과 현실을 면밀히 살펴야 한다며, 현장의 목소리가 반영되지 않는 정책으로는 조직 혁신을 기대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현장 소방관과의 대화에 나서라'고 적인 헌수막을 내건 소방본부는, ▲소방관 안전에 대한 국가 책임 강화, ▲인력 충원 및 예산 확충, ▲응급의료체계 개선, ▲소방관 PTSD(외상후스트레스장애) 대응책 마련, ▲대통령과의 대화 등을 요구했다.